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osquitto.conf
- pm2 설치
- pm2 확인
- map이 undefined가 뜰 때
- 공인IP
- setInterval 정지
- transfer
- Replication
- pm2
- DatePicker
- setInterval 중지
- 데이터테이블 데이터 넣기
- allow_anonymouse
- setInterval clear
- datagridview 직접입력
- c# datagridview 데이터 넣기
- pm2 상태 확인
- 1883
- 맥 어드레스
- 서버동기화
- AntDesign
- timepicker
- listener 1883
- html #select #option #multiple
- mySQL_Replication
- mosquitto
- DataGridView 직접 입력
- setInterval 외부 정지
- pm2 시작
- invalid data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741)
개발 노트
TCP/IP? tcp/ip라고 알려진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는 인터넷과 이와 유사한 컴퓨터 네트워크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 받는데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의 모음 위의 기본 프로토콜은 전송 제어 프로토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과 인터넷 프로토콜(IP : Internet Protocol)이 있다. 앱과 기기는 정보를 전송, 수신하기 위해 규칙을 따라야 하고 이러한 규칙을 TCP/IP 모델이라고 부릅니다. TCP/IP란 무엇인가? TCP/IP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위트로 온라인상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의 필수 요건을 정의한다. TCP/IP모델은 두 개의 기기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담당하고 있다. 수백 대의 컴퓨터 사이에서 활발하게 데이터가 공유되고 있는 ..
쿼리(Query)란 데이터베이스나 파일의 내용 중 원하는 내용을 검색하기 위하여 몇 개의 코드(code)나 키(Key)를 기초로 질의하는 것을 말한다. 쿼리문? CRUD에 해당하는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언어로 SELECT,INSERT,UPDATE,DELETE등이 속한다. DDL(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한 언어로 CREATE, DROP, ALTER, TRUNCATE 등으로 시작한다. SCHEMA 생성? 이였던 것 같음. DCL(Data Control Language) :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언어로 주로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하거나 철회할 수 있는 GRANT, REVOKE 등이 있다. mysql 쿼..
get과 post는 네트워크 전송방식이다. GET = 어떠한 데이터를 전달 해주는 방식 POST = 데이터의 값을 변경하는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mysql = require("mysql"); const dbconfig = require("./config/database.js"); const connection = mysql.createConnection(dbconfig); const bodyParser = require("body-parser"); const app = express(); app.use(bodyParser.json()); app.set("port", process.env.PORT || 4000); app.get("/", (req, re..
1. mqtt, REST API, TCP/IP 포스팅 2. git 여러 사용법 포스팅
1. todolist unsplash를 이용해 배경만들기 2. 이사 하기 3. REST AIP, fetch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포스팅하기 오늘 한 일 1. 배경 만들기 clear
Localstorage에 정보를 저장하기위해선 setitem, getitem, useeffect등을 써서 저장을 해주고, 새로고침해도 변화가 안되게 만들었었는데, zustand의 middleware인 persist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Localstorage에 저장하고 유지해준다. 하지만 잘못된 값이 들어간경우 화면이 공백으로 표시되니 Localstorage에 들어가서 데이터를 삭제해줘야한다. export const useStore = create( persist((set) => ({ todos: [], addTodo: (todoText) => set((state) => ({ todos: [ ...state.todos, { text: todoText, id: uuid(), isCompleted: 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