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ntDesign
- Replication
- allow_anonymouse
- mySQL_Replication
- DataGridView 직접 입력
- map이 undefined가 뜰 때
- transfer
- 서버동기화
- setInterval 정지
- setInterval 중지
- pm2 확인
- html #select #option #multiple
- pm2
- mosquitto
- invalid data
- datagridview 직접입력
- DatePicker
- 데이터테이블 데이터 넣기
- mosquitto.conf
- 1883
- timepicker
- 맥 어드레스
- pm2 설치
- setInterval clear
- pm2 시작
- listener 1883
- pm2 상태 확인
- c# datagridview 데이터 넣기
- setInterval 외부 정지
- 공인IP
- Today
- Total
목록React (98)
개발 노트
setState의 비동기적 특성 vs 함수형 업데이트 setState는 비동기로 동작한다. 리액트는 효율적으로 렌더링하기 위해 여러개의 상태 값 변경 요청을 batch(일괄 처리)처리하기 때문이다. 왜?? 성능 이슈 때문이다. -> setState마다 리렌더링이 일어난다면 얼마나 많은 렌더링이 일어날지 가늠할 수가 없다. const onClick = () => { //value = 0 setValue(value+1) //value + 1 => 2 setValue(value+1) //value + 1 => 2 setValue(value+1) //value + 1 => 2 } 위의 setState는 변경된 사항을 기억하지 않기 때문에 마지막 업데이트 적용되어 다름 렌더링에 쓰이게 된다. setState 함수..
react에서 개행할때 "\u00A0"
import Reac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 import { Line } from "@ant-design/plots"; const DemoLine = () => { const [data, setData] = useState([]); useEffect(() => { asyncFetch(); }, []); const asyncFetch = () => { fetch( "https://gw.alipayobjects.com/os/bmw-prod/1d565782-dde4-4bb6-8946-ea6a38ccf184.json" ) .then((response) => response.json()) .then((js..
import "../styles.css"; export const dataSource = [ { id: "1", key: "1", holdNumber: 1, grain: 22.31, bale: 33.213, totalHoldHatches: 3, width: 100, hatches: [ { hatchLength: 7.02, hatchWidth: 2.33 }, { hatchLength: 6.931, hatchWidth: 6.11 }, { hatchLength: 22.1, hatchWidth: 5.33 } ] }, { id: "2", key: "2", holdNumber: 3, grain: 41.233, bale: 42.11, totalHoldHatches: 2, hatches: [ { hatchLength:..
1. border-radius의 default값이 2px에서 2,4,6,8 px중 하나로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Button의 default값은 2px에서 6px로 변경되었다. 기본색 또한 #1890ff에서 #1677ff로 변경되었다. 2. css에 대한 변경으로 css-in-Js를 채택하여서 기존 import를 할 때 antd/dist/antd.css를 사용 했던 것을 없앴다. 기본 스타일을 재설정 해야 하는 경우 importantd/dist/reset.css를 import하여 사용하면 된다. 3. LocaleProvider는 4버전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기에 5버전에서 관련 폴더 antd/es/locale-provider 및 antd/lib/locale-provider를 제거했다. 4. 기본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