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DataGridView 직접 입력
- setInterval clear
- invalid data
- AntDesign
- listener 1883
- mosquitto.conf
- mySQL_Replication
- 데이터테이블 데이터 넣기
- 1883
- mosquitto
- setInterval 정지
- pm2
- c# datagridview 데이터 넣기
- DatePicker
- timepicker
- pm2 확인
- pm2 시작
- setInterval 외부 정지
- 맥 어드레스
- transfer
- datagridview 직접입력
- allow_anonymouse
- setInterval 중지
- 공인IP
- map이 undefined가 뜰 때
- Replication
- 서버동기화
- html #select #option #multiple
- pm2 설치
- pm2 상태 확인
- Today
- Total
개발 노트
Query 본문
쿼리(Query)란 데이터베이스나 파일의 내용 중 원하는 내용을 검색하기 위하여 몇 개의 코드(code)나 키(Key)를 기초로 질의하는 것을 말한다.
쿼리문?
CRUD에 해당하는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언어로 SELECT,INSERT,UPDATE,DELETE등이 속한다.
DDL(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한 언어로 CREATE, DROP, ALTER, TRUNCATE 등으로 시작한다.
SCHEMA 생성? 이였던 것 같음.
DCL(Data Control Language) :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언어로 주로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하거나 철회할 수 있는 GRANT, REVOKE 등이 있다.
mysql 쿼리문
- 접속방법
mysql -u root -p (dbname)
-비밀번호 변경
mysqladmin -u root password 새로운 비밀번호
-테이블의 생성
create table {테이블이름} ({column 명} {column타입});
ex) CREATE TABLE member( id int(11) NOT NULL,);
-구조 보기
-이름 변경
rename table {테이블명A} to {테이블명 B}
-삭제
drop table {테이블명}
- 레코드 삽입
Insert into {테이블명} values(v1,v2) / Insert into table(col1, col2) values(v1, v2);
- 조회
select * from table {테이블명}
>AS : 칼럼의 이름을 달리 명명해서 출력. ex) Col1 as 'name'
>Desc : 내림차순 Asc: 오름차순 (Order by)
> LIMIT 10 : 0~10 까지 레코드 수 제한. / LIMIT 100, 10 : 100~110까지 레코드 범위
- 수정
Update {테이블명} set col1 = 칼럼 1 where 조건
- 삭제
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column 추가
:Alter table {테이블명} add col3 varchar(255) not null.
-column 삭제
Alter table {테이블명} drop col3
-column 수정
Alter table{테이블명} modify col3 char(50) not null.
- in : 원하는 필드값만을 선택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그룹 조건문
- 조인
1 Inner join
select * from tableA inner join tableB on tableA.col1 = tableB.col1
=> tableA의 col1과 tableB의 col1이 일치하는 데이터만을 출력. ON 절의 조건이 일치하는 조인테이블의 결과만을 출력한다.
2. Outer join
select * from tableA left outer join tableB on tableA.col1 = tableB.col1
=> tableA.col1이 존재하나 tableb.col1이 존재하지 않으면 tableB.col1 = NULL인 상태로 출력. 조인하는 테이블의 ON 절 조건 중 한쪽의 모든 데이터를 가져옴 (LEFT JOIN, RIGHT JOIN) 양쪽(FULL JOIN)
- 내장함수 Benchmark
select Benchmark(반복횟수, 실행쿼리)
(ex) Select Benchmark(100, ("select * from table")); => 해당 쿼리를 100번 반복한 벤치마크 결과를 출력.
-DISTINCT
주로 Unique한 column이나 tuple을 조회할 때 사용되는 키워드. column을 distinct를 이용하여 조회한다면 중복을 제거한 값들을 바로 얻을 수 있다. 단 이 때, 여러 개의 칼럼을 지정한다면 칼럼의 조합이 중복되는 것을 제외한다.
distinct는 함수처럼 where이 아닌 having 조건식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ex) select distinct email from table;
'데이타베이스 >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 SQL Replication (0) | 2023.01.09 |
---|---|
mySQL DATETIME 타입 (0) | 2022.12.09 |
sql (0) | 2022.04.19 |
sql 테이블 필드 위치값 찾기 (0) | 2022.03.31 |
SQL 타입이 다를경우 (0) | 2022.03.29 |